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9

[모두의 네트워크] -08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이전에 작성한 글에서는 OSI 모델의 계층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에는 웹 사이트에 방문했을 때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데이터 처리 과정을 알아보겠다. 네트워크의 구성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데 필요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필요 네트워크 계층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에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필요 전송 계층 목적지에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필요 응용계층 (세선계층, 표현계층 포함)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필요 다음의 그림에서 네트워크를 살펴보자 이 네트워크는 총 192.168.10,0/24 , 172.16.0.0/16, 192.168.20.0/24 총 세개이다. 네트워크를 OSI 모델로 나타내면 위와 같이 구성된다. 이렇게 데이터가 전달되.. 2023. 4. 2.
[모두의 네트워크] -07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응용 계층의 역할 응용 계층은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이메일 : Microsoft Outlook, Gmail, Apple Mail 웹브라우저 : Google Chrome, Mozilla Firefox, Microsoft Edge 파일 전송 프로그램 : Dropbox, Google Drive, WeTransfer 채팅 프로그램 : Facebook Messenger, Slack, 카카오톡 비디오 콜 프로그램 : Zoom, Microsoft Teams, Skype 등이 있다. 응용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마지막 계층이다. 해당 글 에서 응용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7계층), 세션 계층(6계층), 표현 계층(5계층)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가 데이터를 주고.. 2023. 3. 30.
[모두의 네트워크] -06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이번 포스팅은 OSI 7계층 중 4계층에 해당하는 전송 계층을 다룰 예정이다. 전송 계층의 역할 이전 포스팅을 통해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3계층이 있으면 다른 네트워크로도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이 되더라도 이전 계층들은 보장을 해주지 않는다. 그래서 전송 계층은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한다. 전송 계층은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이 있다.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재전송 하도록 요청한다. 이외에 전송한 데이터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지 판단을 한다. 여기서의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 메일 등이 있다. 통신의 종류 전송 계층의 특징은 신뢰성/정확성과 효율성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두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는 없고 각자의 장점을 .. 2023. 3. 20.
[모두의 네트워크] -05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 OSI 3계층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계층은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계층이다. 이전에서 설명한 데이터 링크 계층의 이더넷은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는 전송이 가능하지만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로는 전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하기 위해 라우터(Rout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우리가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Iptime 등이 라우터의 기능을 하고 있다 ISP(인터넷 제공자)로부터 받은 인터넷은 로컬 인터넷으로 공유하여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한다. 라우터는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것이 좋은지를 알려준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MAC주소를 활용하였듯이 네트워크 계층에서도 주소를 활용하는데 .. 2023.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