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란 물리적으로 떨어진 컴퓨터 혹은 기기들이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이때 통신을 위해 LAN 또는 WAN을 사용할 수 있는데 LAN(Local Area Network)는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이다. 보통 가정 혹은 회사 같은 장소에서 사용한다.
다음으로 WAN(Wide Area Network)는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이다. WAN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우리가 흔하게 알고 있는 KT, U+, SKT등이 이에 해당한다.
- 가정에서는 어떻게 구성이 되어 있을까
아래 그림에서는 가정에서의 네트워크 구성을 간단하게 그려보았다. 컴퓨터1, 2, 프린터는 유선 랜으로 연결되어있고 스마트폰은 무선 랜을 사용하고 있다.
- 회사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회사에서는 DMZ(Demilitarized Zone)네트워크 영역이 존재한다.
DMZ는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며 서버를 공개하고 있다.
여기서 서버는 클라이언트(고객)이 접속하기 위해 필요하며 이는 추후에 다루도록 할 예정이다.
- 그렇다면 이렇게 전송한 데이터는 어떻게 전달될까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규칙이 있다. 그 규칙은 패킷(Packet)이다. 패킷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이다.
- 왜 패킷을 사용할까?
패킷을 사용하는 이유는 우리가 전달할 데이터(크다)를 나누어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 대의 트럭에 많은 개수의 택배를 실어 보내면, 하나의 큰 택배를 보내는 것보다 공간적인 측면에서 이득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택배가 많은 만큼 하나의 택배가 없어지더라도 손실의 우려가 적다. 따라서 유연성이나 보안적인 측면에서 패킷을 나누어 전송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전송하는 데이터는 어떠한 단위를 가지고 있을까
전송하는 데이터는 결국 0과1의 데이터이다. 우리는 이 최소단위를 비트(Bit)라고 부를 수 있다. 보다 큰 단위로 0과1 8개를 묶어 바이트(Byte)라고 표기한다. 즉, 8비트 = 1바이트이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네트워크] -05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0) | 2023.03.20 |
---|---|
[모두의 네트워크] -04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3.03.19 |
[모두의 네트워크] -03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0) | 2023.03.18 |
[모두의 네트워크] -02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0) | 2023.03.18 |
네트워크(IP, Port, Channel) (0) | 2023.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