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모두의 네트워크] -02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by Slow Motion~ 2023. 3. 18.
728x90
  • 프로토콜

우리가 일상 생활을 살면서 지키는 여러 규칙들이 있듯이 네트워크에서도 지켜야 하는 규칙이 존재한다.

 

이러한 네트워크간의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차를 운전하고 있다고 가정을 해 보겠다. 신호등은 파란불, 빨간불, 노란불이 존재하며 우리는 파란불에는 이동을 할 수 있는 규칙을 지키며 살아가고 있다. 그런데 갑자기 빨간불에 이동을 하면 어떻게 될까? 사고가 나거나 벌금을 물거나 문제가 생길 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규칙(약속)을 하여 원활한 생활을 할 수 있다.

 

신호등의 규칙을 하나의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

 

  • OSI모델/TCP/IP모델

예전에는 같은 회사의 컴퓨터만 통신이 가능하던 시절이 존재했다고 한다.

A사와 B사의 컴퓨터가 통신이 안되었다는 말이다.

 

그래서 표준규격이 필요했고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OSI모델이라는 표준 규격을 제정했다. 우리가 네트워크를 공부하다보면 한 번은 무조건 마주하게되는 OSI 7계층 모델이 여기서 등장하였다.

OSI 7계층

여기서 데이터를 송신할때는 7계층인 응용계층부터 1계층인 물리계층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에서는 1계층에서 7계층 순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 TCP/IP모델

TCP/IP 모델은 4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TCP/IP 모델

  • OSI 7계층TCP/IP 모델프로토콜 비교

프로토콜에 대한 자세한 부분은 나중에 다시 다루도록 할 예정이다.

OSI 7계층 모델 TCP/IP 모델 프로토콜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HTTP, FTP, SMTP, SNMP, Telnet 등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세션 계층 (Session Layer)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TCP, UDP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IP, ARP, ICMP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Network Access Layer) Ethernet, Wi-Fi, ATM 등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캡슐화와 역캡슐화

데이터를 보내려면 데이터의 앞 부분에 필요한 정보를 붙여서 다음 계층으로 보내야 한다. 이러한 정보를 헤더라고 부른다.

 

데이터를 전송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데이터 전송 과정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각 계층마다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한 헤더를 포함에 전송하게 되고 수신측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해석해 나간다. 이러한 과정을 각각 캡슐화 그리고 역캡슐화라고 부른다.

 

결국 데이터는 전기신호인 0,1로 전송이 되며 이 변환 과정을 물리 계층에서 한다.

댓글